django
-
[Django] Authentication of python django🍓𝗪𝗲𝗯 2020. 8. 25. 09:51
여러 방법이 있지만 로그인 방법 크게 2파트 1. 장고에 내장 user로 구현 2. Profile모델을 만들어서 커스텀 유저 모델을 구현 장고 User objects와 1 : 1로 되어있는 모델 만들기. 1. 장고에 내장 user로 구현 상황에 맞는 에러 메시지를 보내주는 것이 친절한 서비스가 될 것 ..! 1. POST 요청인지 확인 : form에 담아서 POST 요청을 보낼 것이다. if request.method == "POST": 2. 제대로 input을 채워서 보냈는지 확인 3. 이미 사용 중인 아이디인지 확인 : 이미 사용중인 아이디가 아니라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. 등록한 유저들이랑 비교해야함. 4. 비밀번호 체크를 맞게 했는지 확인 : 비밀번호 2번 입력했을 때 일치하는지..
-
[Django] CR🍓𝗪𝗲𝗯 2020. 8. 20. 09:25
실습 사용자가 자신이 해당하는 반에 자신을 등록할 수 있는 기능 구현. 학습이름 클릭해서 보여주는 것 까지 ~ ! 1. home/에 들어오면, '반' 정보 나열 2. home/에서 '반'클릭해서 detail/로 넘어가는 기능 3. detail/에서 각 반의 '학생 이름'을 나열하는 기능 client 0. 특정 반 페이지 선택 1. 학생이름 POST django 2. urls.py 추가요청이구나~ 3. models.py에 데이터를 추가해야겠다 ! 4. 추가를 성공했을 때, detail페이지로(이전페이지에) redirect해주는 작업. 필요한 페이지 1. home/ 반나열 2. detail/ 각 반의 디테일 페이지, 학생 이름 나열 3. add/ 학생 추가하기 가능 models.py에 데이터 추가하기. 모델..
-
[Django] MTV Pattern🍓𝗪𝗲𝗯 2020. 8. 19. 09:48
웹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프레임워크 동작한다. 웹을 구성하는 요소. 분업 및 협업을 진행할 때, 이런 식으로 나눠서 하기도 함. ~.~ 공장처럼 ! 1. UI : 화면에 보여지는 인터페이스 2. Data : 화면의 내용을 구성하는 데이터 3. Logic : 내용을 구성하는 방식을 처리하는 로직 django 1. UI -> templates * templates에 html을 만들어두고, response로 줄 수 있다. django의 html 문법이 있다. 2. Data -> models.py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표현. 장고는 SQL을 사용하지 않아도, 파이썬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할 수 있는 ORM을 제공한다. 3. Logic -> views.py ( 핵심🌟 )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고 Resp..
-
[Django] 파이썬 장고 기초🍓𝗪𝗲𝗯 2020. 8. 12. 10:14
django : 서버 역할을 할 수 있는 웹 프레임워크 프레임워크란, 웹 개발을 하기 위한 도구들을 미리 갖춘 것을 말한다.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명확히 구분되어 있지 않다. 빠르게 만들 수 있다. 가장 유명한 서비스 : instagram. 내가 글을 쓰고, 댓글을 쓰고... crud가 들어가는 서비스에 적합하다. 실시간 통신은 조금 어렵다. 장고로 개발을 하지만, 그 내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에 대한 ( 요청과 응답으로 이루어진 웹에 대한, )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. express는 바닥부터 만드는 느낌이라면, django는 만들어진 것이 많아서 거기에서 조합하는 느낌! 요청에 대한 처리를 할 수 있게 된다. 로그인 요청이 들어왔을 때, 우리 사이트의 회원인지 아닌지를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..
-
[광주 인공지능 사관학교 1기 여섯째날] 얕게라도 웹 분야 다 공부해서 완성해서 내놓을 수 있게!🍓𝗪𝗲𝗯 2020. 7. 13. 10:16
웹이 동작하는 방식은 뭐든지 클라이언트의 request와 서버의 response로 이루어져있다!!! 웹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크롤링하면~ 못가져올 데이터가 없당!! (오오미 ... 기대된다!!!!) HTTP :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의 request와 서버의 response로 주고받는 통신 규약이다. 통신이 존재하는 이유는 어떤 것인지 구분하기 위해서?! URL. 서버에 자원을 요청하기 위한 주소. IP보다 식별하기 쉬워서 사용한다. 어떤 통신으로 할 것인지!! client : 서비스를 요청하는 프로그램 server :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한 응답을 주는 프로그램 개발 포지션 Frontend : HTML / CSS , javascript Backend: python django -> 우리는 다 할 줄 알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