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[크롬의 개발자 도구 : 네트워크] 보는 법 공부🍓𝗪𝗲𝗯 2020. 8. 5. 10:11
크롬의 개발자 도구 네트워크를 볼 줄 알아야한다.
General
컴퓨터의 주소 : IP
사람이 보기 편하기 위해 도메인으로 ip 연결해줌 !-!
도메인이 IP 연결되어 있는 구조라고 생각하면 편하다.
:443은 포트인데, 장고할 때 다시 할겨~
Referrer Policy : Referrer 방문직전에 위치해 있던 페이지. 방문 출처 정책
no-referrer 어디서 들어오든 상관 없다~! 헤더에 referrer 포함하지 않겠다.
ex) 결제하는 사이트에서 이전 스텝들을 밟아와야 할 때.
Request Headers
요청을 보내는 헤더!
호스트
/ 루트 (홈)
accept : 이러한 형식으로 응답을 보내달라. *은 무엇이든 상관 없다.
cache: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미리 복사 해둔 임시 저장소.
( 접근 시간에 비해 원래 데이터를 접근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. 서버의 균일한 API 데이터
반복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돌려주는 경우) 자주 쓰는 것은 요청을 보내지 않고, 캐시메모리에 저장.
-> 웹에서는 브라우저에 저장 해둔다.
cache-control : 얼마나. 어느 정도로 ~?
no-store : 아무것도 캐시하지 않겠다.
no-cache: 캐시를 사용해도 되는지 서버에 물어보기.
must-revalidate: 만료된 캐시를 서버에 물어보기.
public / private : public이면 중개 서버에 저장. 요청에 있는 게 캐시에 있으면 캐시에 있는 거 보내준다. private이면 브라우저 등에 저장
max-age = 1
cookie : 서버에 다시 요청 할 필요 없이, 관리해야할 정보가 있을 때 브라우저에 쿠키를 저장해둠.
로그인 해야 하는 경우, 브라우저를 종료했다가 다시 켜도 그대로 로그인 유지 되는.
set-cookie : Response Header 담겨서 온다.
그럼 다음부터는 cookie를 통해 보낸다.
session : 쿠키의 보안상 이슈 때문에 사용되는 id 값. id값을 이용해 필요할 때마다 서버에 요청
curl 요청
웹 취약점 분석 도구 : 리눅스에서 웹 페이지에 요청을 보내기 위한 도구.
우리는 리눅스를 안 쓰므로, curl -> python으로 변환하여 requests를 통해 요청을 보내볼 것이다.
curl.trillworks.com
curl 명령을 python으로 바꿔준다.
그리고 바뀐 코드를 내 코드에 옮겨 오고,beautifulSoup에 담는다.
'🍓𝗪𝗲𝗯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Django] MTV Pattern (0) 2020.08.19 [Django] 파이썬 장고 기초 (0) 2020.08.12 [자연어 전처리] TF, DF, IDF 구현 실습 (0) 2020.08.02 [자연어 전처리] Konlpy를 이용한 한글 텍스트 워드클라우드 (0) 2020.08.02 [광주 인공지능사관학교 1기 아홉번째 날] HTML (0) 2020.07.1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