🍓𝗪𝗲𝗯/𝖢𝖲𝖲
[CSS3] nth-child(), nth-of-type()
안오늘
2021. 7. 15. 12:52
nth-child()
E:nth-child(n)
부모의 n번째 자식인, E요소
nth-of-type()
E:nth-of-type(n)
같은 유형의 n번째 형제인, E요소
n값에는 키워드, 정수, 공식이 들어갈 수 있다.
키워드 : even(짝수), odd(홀수)
정수 : 양수, 음수, 또는 0
공식 : an+b
<div class="box">
<p>1. 나는 p</p>
<span>2. 나는 span</span>
<p>3. 나는 p</p>
<span>4. 나는 span</span>
<p>5. 나는 p</p>
</div>
위의 상태에서 아래와 같은 css를 적용하면?!
p:nth-child(3) {
color: red;
}
p:nth-of-type(3) {
color: blue;
}
span:nth-child(1) {
color: green;
}
2번째 경우에서 p:nth-of-type(3)이기 때문에, p의 형제 중 3번째이므로 5번째 요소가 색깔이 파란색으로 적용된다.
즉, 특정 요소만을 순서 카운팅한다.
3번째 경우에서 nth-child(1)과 같은 경우, 부모 기준 첫번째 자식이 span태그가 아니므로 green색깔이 적용되지 않는다.
span:nth-child(2) 으로 수정하면, 부모 기준 두번째 자식이 span태그가 맞기 때문에 green색깔이 적용된다.
nth-last-child()
E:nth-last-child(n)
맨 마지막부터 계산해서 같은 부모의 n번째 자식인 E요소
nth-last-of-type()
E:nth-last-of-type(n)
맨 마지막부터 계산해서 같은 유형의 n번째 형제인 E요소
nth-last-of-type(even) 맨 마지막부터 계산하여 홀수 형제를 선택함.
nth-last-of-type(2n+1)이라고 하면 맨 마지막부터 계산하여 0부터 시작하여 같은 유형의 1, 3, 5번째 형제를 선택한다.